반응형 전체 글205 AI 하이프사이클 완전 정복: 생성형부터 자율형까지, 진짜 미래를 읽는 법 최근 BC로의 전직과 AI 기술 습득, 그리고 많은 이벤트들로 포스팅을 많이 하진 못했는데 이제 슬슬 다시 시작해보려고 합니다.현재 IT업계에서 AI를 빼놓을 수는 없어서 먼저 AI의 현 시점에 대해 써보려고 합니다. "이제는 하이프(Hype)가 아니라, 현실을 봐야 할 때입니다."인공지능(AI)은 더 이상 실험실의 기술이 아닙니다. 가트너(Gartner)의 AI 하이프사이클 보고서는 우리가 지금 어디에 서 있는지를 냉정하게 보여줍니다.작년의 글이긴 하지만 이 글에서는 생성형 AI, 멀티모달 AI, 자율형 AI 등 핵심 기술의 현재 위치와 미래 방향을 정리하고, 기업과 개인이 실질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전략까지 함께 소개합니다.(랭체인이나 랭그래프는 조금 더 들어가야 해서 추후 다른 포스팅에서 소개하겠습.. 2025. 7. 30. [프로그래머스] 가장 많이 받은 선물 python 풀이 문제 카카오 겨울 인턴십 기출문제로 난이도는 낮지만 정답률도 낮은 문제라 가져와 봤다. 구현 시뮬레이션은 쉽지만 어떤 타입의 변수에 입력값들을 담아야 할지가 이 문제의 키라고 생각한다.모두 배열로 만들어 매번 배열의 index를 찾게 하는 것보다는dict에 담아서 조금 더 시간의 효율을 얻고 싶었다. 아래 코드에서 살펴보자코드 f에 각 이름 별 index를 담았고나머지는 리스트에 다 담았다. 시뮬레이션 로직은 최 하단의 for문 밖에 없어서 문제 자체는 쉽다.그래서 어떤 data type을 사용할지가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된다.다른 풀이 많은 사람들이 이 방식으로 풀었고, 더 좋은 방식은 보이지 않아서 다른 풀이는 가져오지 않았다. 2024. 12. 21. [프로그래머스] 붕대 감기 python 풀이 문제 문제 링크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250137 구현 시간에 따라 반복하면 매우 비효율적이기 때문에attack 배열을 반복하면서 각 attack 사이의 delta 값을 위주로 계산해서 풀이 하려고 했다. 아래 코드를 보면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코드 조금 잘리긴 했지만 설명을 하자면 각 attack time 간격을 계산해서 delta_time에 넣었다.공격당하기 전까지의 시간까지 회복할 수 있으니 -1을 해줬다.health의 최대치를 넘지 않게 해 주었고, 회복을 완료할만한 시간이 있었는지는 //연산으로 계산한 후 damage만큼 빼줬다.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health = min(max_healt.. 2024. 12. 20. SSL 인증서란? 웹사이트 보안을 위한 필수 가이드 오늘날 인터넷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웹사이트 보안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SSL 인증서는 사용자와 웹사이트 간에 안전한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보안 장치입니다. 이 글에서는 SSL 인증서의 정의, 작동 방식, 종류, 발급 과정 등을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1. SSL 인증서란?SSL(Secure Sockets Layer) 인증서는 웹사이트와 사용자의 브라우저 간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안전한 통신을 보장하는 디지털 인증서입니다. 현재 SSL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TLS(Transport Layer Security)**가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포함하여 SSL/TLS 인증서라고 부릅니다.SSL 인증서가 필요한 이유보안 강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중간자 공격을 방지.신뢰성 향상: .. 2024. 11. 29. 이전 1 2 3 4 ··· 5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