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asics6 JavaScript 기초 12 - 객체(Object) 객체 const person = { name : 'gm', age : 23 } 여기서 name이나 age는 객체의 프로퍼티(key)이고 'gm'과 23은 프로퍼티 값(value)이다. 접근 person.name // 'gm' person[name] // 'gm' 추가 person.gender = 'male' /* 다음과 같이 추가됨 person = { name : 'gm', age : 23, gender = 'male' } */ 삭제 delete person.gender /* 다음과 같이 삭제됨 person = { name : 'gm', age : 23 } */ 존재여부 확인 'name' in person // true for... in 반복문 객체의 프로퍼티 값을 가져올 수 있음 for(let key .. 2022. 1. 11. JavaScript 기초 11 - 함수 표현식, 화살표 함수 함수 표현식 let sayHello = function(){ console.log('hello'); } 이전 챕터에서의 함수 선언은 어디서든지 호출 가능하지만 함수 표현식은 해당 코드 이후에만 호출 가능 따라서 함수 선언문이 더 자유롭게 코딩 가능 화살표 함수 arrow function let 변수 = (파라미터) => { 실행 코드 } let add = (num1, num2)=>( num1+num2 ); //한 라인일 때는 소괄호로 가능 let add = (num1, num2)=> num1+num2 ; //한 라인으로 구현할 때는 괄호도 생략 가능 자주 쓰이기 때문에 익숙해져야함 2022. 1. 11. JavaScript 기초 9 - switch if else문과 같은 기능을 하지만 case가 다양할 경우 더 짧고 간결한 코드 작성 가능 switch(변수) { case '변수 값 1' : 실행; break; case '변수 값 2' : 실행 break; default : 실행 } 변수의 값이 변수 값과 같을 때 실행 break가 없다면 해당 case부터 밑으로 쭉 실행 default는 변수의 값이 다 매칭 되지 않을 때 실행됨 2022. 1. 11. JavaScript 기초 7 - 논리 연산자 || OR 여러 값 중에 하나만 맞아도 true 여러 개가 있으면 처음 true를 발견하는 즉시 true 반환 && AND 모두 맞아야 true 여러 개가 있으면 처음 false를 발견하는 즉시 false반환 우선순위는 앞에서부터 계산함(괄호 제외) => 성능 최적화를 위해 초반에 통과하기 어려운 조건을 넣는 것 권장 ! NOT true false를 바꿈 2022. 1. 11.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