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10 [파이썬] input() vs sys.stdin.readline() 반복문 안에서 입력을 받을 때 input()과 sys.stdin.readline()의 시간 차이가 많이 난다고 한다. 그래서 이 두 기능이 어떻게 다른 지 정리해보려고 한다. 우선 참고한 사이트는 아래와 같다. https://www.geeksforgeeks.org/difference-between-input-and-sys-stdin-readline/ Difference between input() and sys.stdin.readline() - GeeksforGeeks A Computer Science portal for geeks. It contains well written, well thought and well explained computer science and programming artic.. 2023. 6. 14. [꿀팁] 프로그래밍 독학 사이트 정리 어느 정도 개발을 하다 보면 다른 언어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때 무료로 언어 및 기술들을 학습할 수 있는 사이트를 정리해 보겠다. 1. HTML http://html.com 2. CSS http://web.dev/learn/css 3. JavaScript http://javascript.info 4. React http://reactplay.io 5. Vue http://learnvue.co 6. Web3 http://learnweb3.io 7. Python http://learnpython.org 8. SQL http://w3schools.com/sql 9. BlockChain http://cryptozombies.io 10. NextJS http://nextjs.org/learn 1.. 2023. 6. 8. REST API 특징 및 가이드 정리 (논문 참고) API 설계 관련해서 리뷰를 하다 보면 항상 RESTful API가 맞나에 대한 의문이 많아서 정리해 보았다. REST란?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모든 것 이 뜻에서 볼 수 있듯이 REST API는 [ 자원 - URI, 행위 - http method, Representation(표현) - payload ]로 구성되어 있다. REST 특징 ( REST에 적용되는 6가지 제한 조건 ) 인터페이스 일관성 리소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의 균일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GET, POST, PUT, DELETE와 같은 HTTP Method를 사용해서 구현된다. 무상태(Stateless) 통신 클라이언트 -> .. 2023. 5. 26. AWS Timestream 알아보기 - Architecture편 이번에 대규모 시계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AWS Timestream에 대해 조사해서 정리해 봤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Architecture 쪽을 보려고 한다. Architecture Amazon TimeStream은 대규모 시계열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처음부터 설계되었다. 전체적인 구조는 위와 같다. 조금 더 자세히 보면 여기서 셀로 나눠지는데 그것은 뒤에 설명을 하겠다. - Write Architecture 시계열 데이터를 작성할 때 Timestream은 테이블이나 파티션에 대한 쓰기를 메모리 저장 인스턴스로 라우팅 한다. 메모리 저장소는 3개의 AZ(가용영역) 데이터가 복제되어 내구성이 확보된다. 전체 AZ가 소실되더라도 바로 다른 스토리지 노드가 쿼리를 처리하기 위해 동기.. 2023. 5. 10. 이전 1 2 3 4 5 6 7 8 ··· 5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