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내장함수8

[Python] 내장함수 range 구현 range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사실 range의 형태를 정의하자면 내장'함수'라기보다 '불변 시퀀스' 형이다. for문에서 특정 횟수만큼 반복하는데 자주 사용한다. range 사용 예시를 보면 다음과 같다. list(range(10)) #0이상 10 미만 -> 인자가 하나일 때는 start = 0고정, end는 인자값 #[0, 1, 2, 3, 4, 5, 6, 7, 8, 9] list(range(1, 11)) #1이상 11미만 -> 인자가 두개일 때는 start, end로 취급 #[1, 2, 3, 4, 5, 6, 7, 8, 9, 10] list(range(0, 30, 5)) #0에서 30까지 5씩 건너뛰면서 -> 인자가 3개일 때는 start, end, step으로 취급 #[0, 5, 10, 15, 2.. 2022. 5. 18.
[Python] 내장함수 max, min 구현 Python의 내장함수 max와 min은 입력받은 인자들의 최댓값을 구한다. 만약 하나의 인자를 입력받았다면 iterable한 인자를 넣어야 한다. test = [7, 4, 2, 6, 8] print(max(1,2,3))#3 print(min(1,2,3))#1 print(max(test))#8 print(min(test))#2 추가로 key와 default값을 입력받을 수 있는데 key는 각 요소를 시작전에 한번 계산을 할 수 있게 하는것인데 추후 sort부분에서 다루려고 한다. default는 반환할 값이 없을 때 반환할 값을 지정할 수 있다. 그러면 설계를 해보겠다. 편의상 key와 default는 생략하겠다. 먼저 args를 입력받아서 그 길이가 1이면 args[0]을 사용하도록 바꿔준다. 그후 m.. 2022. 5. 16.
[Python] 내장함수 enumerate 구현 enumerate 함수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enumerate(iterable, start=0) iterable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iteration한 값과 start부터 증가하는 값을 묶은 튜플을 반환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seasons = ['Spring', 'Summer', 'Fall', 'Winter'] list(enumerate(seasons)) #[(0, 'Spring'), (1, 'Summer'), (2, 'Fall'), (3, 'Winter')] list(enumerate(seasons, start=1)) #[(1, 'Spring'), (2, 'Summer'), (3, 'Fall'), (4, 'Winter')] 구현을 해보면 def my_enumerate(sequence, start.. 2022. 5. 15.
[Python] 내장함수 all 구현 Python의 내장함수 중 all에 대해서 구현해본다. 우선 all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test1 = [True, 4 == 4, 3 < 7] test2 = [3 7, True] print(all(test1)) # True print(all(test2)) # False 이렇게 모든 요소가 참이면 (혹은 비어있으면) True를 반환한다. 하나라도 거짓이면 False를 반환한다. 그럼 직접 구현해보겠다. 리스트를 받아 해당 리스트를 돌며 False인 element가 있으면 False를 리턴하고 모두 True라면 True를 반환하게 하면 된다. def my_all(iterable): for element in iterable: if not element: return False return True 맞게.. 2022. 5.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