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내장함수 range 구현
range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사실 range의 형태를 정의하자면 내장'함수'라기보다 '불변 시퀀스' 형이다. for문에서 특정 횟수만큼 반복하는데 자주 사용한다. range 사용 예시를 보면 다음과 같다. list(range(10)) #0이상 10 미만 -> 인자가 하나일 때는 start = 0고정, end는 인자값 #[0, 1, 2, 3, 4, 5, 6, 7, 8, 9] list(range(1, 11)) #1이상 11미만 -> 인자가 두개일 때는 start, end로 취급 #[1, 2, 3, 4, 5, 6, 7, 8, 9, 10] list(range(0, 30, 5)) #0에서 30까지 5씩 건너뛰면서 -> 인자가 3개일 때는 start, end, step으로 취급 #[0, 5, 10, 15, 2..
2022. 5. 18.
[Python] 내장함수 enumerate 구현
enumerate 함수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enumerate(iterable, start=0) iterable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iteration한 값과 start부터 증가하는 값을 묶은 튜플을 반환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seasons = ['Spring', 'Summer', 'Fall', 'Winter'] list(enumerate(seasons)) #[(0, 'Spring'), (1, 'Summer'), (2, 'Fall'), (3, 'Winter')] list(enumerate(seasons, start=1)) #[(1, 'Spring'), (2, 'Summer'), (3, 'Fall'), (4, 'Winter')] 구현을 해보면 def my_enumerate(sequence, start..
2022. 5. 15.